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미국 기업들이 최대 625조원(4,330억 달러)의 추가 부담을 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CNBC는 컨설팅업체 트레이드 파트너십 월드와이드(TPW)의 분석을 인용해 기존 연간 112조 원(780억 달러)이던 관세 부담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TPW에 따르면 국가별 예상 부담액은 중국 62조원(430억 달러) 캐나다 148조원(1,030억 달러) 멕시코 181조원(1,260억 달러) 유럽연합(EU) 215조원(1,490억 달러) 수준입니다. 철강,알루미늄 관세도 추가되면서 기업들의 부담은 더욱 커질 전망입니다.
이러한 비용은 수입업체가 직접 부담하지만 최종적으로 소비자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TPW의 대니얼 앤서니 회장은 기업들이 이를 자체적으로 흡수할 가능성은 낮으며 소비자 부담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주별로 보면 트럼프 대통령을 지지했던 텍사스주의 기업들은 관세 부담이 기존 10조원(72억 달러)에서 92조원(640억 달러)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멕시코산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으나 한 달 유예를 결정한 상태입니다.
반면 민주당이 우세한 캘리포니아주는 24조원(170억 달러)에서 66조원(460억 달러)으로 부담이 증가할 전망입니다. 이는 대중국 관세 영향이 크며 2023년 17조원(122억5천만 달러)이던 부담이 23조원(159억 달러)으로 늘어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미국 기업과 소비자에게 미치는 경제적 충격은 상당할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 마이크론테크놀로지가 조만간 12단 고대역폭메모리(HBM) 양산에 돌입해 엔비디아에 납품할 것으로 전망된다는 보도도 있습니다. 이보다 앞선 단계인 8단 제품에서 마이크론에 추월당한 삼성전자(005930)는 12단 개발 경쟁에서도 밀릴 가능성이 높아져 위기감이 고조될 것으로 보입니다.
나스닥 선물은 소추세에서 가격데드가 발생해 중추세까지 전이되고 있는 상태 입니다.
하단 주요라인이 22,000 언저리인데 이자리가 꺠지면 21,880 언저리 테스트에 들어 갈 것으로 판단 됩니다.
상단은 올라갈 각도로 볼 수 있는 컨디션이 아닌것으로 관측 됩니다.
오늘은 밤 10시30분 ppi(생산자물가) 지표가 발표됩니다.
트럼프 관세 정책의 첫번째 지표로 어쩌면 cpi(소비자물가) 충격보다 더 임팩트가 클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합니다.
코스피 야간선물은 339.65~30 라인 이탈종가가 확인되면 그다음 자리는 337.60과 335.50pt 자리가 지지라인으로 유효합니다.
방문하시는 투자자님들 모두 성공 투자 하시기 바랍니다.
테슬라 주가전망 기술적 판단(2/14) -국무부 조달 계약 논란정리
테슬라 주가전망 기술적 판단(2/14) -국무부 조달 계약 논란정리
코스피지수선물,삼성전자주가,나스닥선물,테슬라주가,엔비디아주가,애플주가,SK하이닉스주가,셀트리온주가,
biangco-0.blogspot.com
'나스닥 지수선물 기술적 판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스닥선물의 하방지속과 변동성 확대 구간 (0) | 2025.03.10 |
---|---|
나스닥선물 기술적 판단(3/6) - 아이온큐 최초의 미국산 '갇힌 이온' 양자 컴퓨터 배치 기반 마련 (1) | 2025.03.06 |
나스닥선물 기술적 판단(2/11)-미국 관세폭탄 피난처가된 방산주 (1) | 2025.02.11 |
나스닥 선물(2/10)- 기술적 분석의 기초(입문과정) (0) | 2025.02.10 |
나스닥선물 기술적 판단(1/31) (0) | 2025.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