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5 나스닥선물 기술적 판단(3/13) - 연방정부 셧다운 위기에 빠지다 미국 하원은 11일(현지시간) 연방 정부의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을 방지하기 위해 공화당 주도로 예산안을 가결하여 상원으로 송부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공화당 내 반대파를 설득하는 등 적극적으로 개입한 것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는 평가가 있습니다. 그러나 상원에서 이 예산안이 통과되기 위해서는 민주당의 협력이 필수적입니다. 공화당 소속 랜드 폴(켄터키) 상원의원이 반대표를 던질 것이라고 밝힌 상황에서 필리버스터(무제한 토론을 통한 의사진행 차단)를 피하려면 60표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최소 8명의 민주당 의원이 찬성해야 합니다. 현재 상원 의석 분포는 공화당 53석, 민주당 47석(친민주당 무소속 2명 포함)입니다. 이번 예산안은 2024 회계연도 지속결의안(CR)으로 오는 14일.. 2025. 3. 13. 코스피 지수선물 기술적 판단(2/26) - 테슬라 급락 추세붕괴 최근 미국 증시에서는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시장 변동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워런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 해서웨이(Berkshire Hathaway)는 2월 24일(현지 시간) 보험 부문 운영 수익 개선에 힘입어 사상 최대 분기 이익을 발표하였고 이에 따라 주가도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클래스 A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4% 상승하여 주당 74만7,485.49달러로 마감했으며 장중에는 주당 75만5,968달러까지 상승했습니다. 의결권이 없는 클래스 B 주식도 4.1% 상승하여 주당 498.42달러로 마감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로써 버크셔의 시가총액은 1조8,000억 달러로 상승했습니다. 미국 경제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대형 기술주들에 대한 매도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기.. 2025. 2. 26. 미국 AI 관련주 목록 AI 관련 주식은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하거나 이를 활용하는 기업들의 주식입니다. 최근 AI 기술의 발전에 따라 많은 기업들이 주목받고 있으며, 특히 다음과 같은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기업들이 있습니다. 1. AI 하드웨어 NVIDIA (엔비디아): AI와 관련된 그래픽 처리 장치(GPU) 및 데이터 센터 솔루션을 제공하는 대표적인 기업. AI 학습에 필수적인 고성능 하드웨어를 제공합니다. AMD (애즈디): GPU 및 프로세서 제조업체로 AI 연산에 필요한 하드웨어를 제공. 2. AI 소프트웨어 Google (구글): 자사의 AI 연구 및 기술 개발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에 AI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Google Cloud AI, Google Assistant 등 여러 제품이 AI 기반입니다. .. 2025. 1. 31. 나스닥 선물 기술적 판단(1/28) 엔비디아와 브로드컴은 어제 큰 낙폭을 딛고 28일 19시10분 기준 장전 프리마켓에서 5%대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한국시간 30일 새벽에 fomc 금리결정이라는 이벤트를 앞두고 큰폭의 되돌림이 발현될 기술적 가능성은 낮다는 관측 입니다. 나스닥 선물은 19시10분 0.7% 상승중인데요. 현재의 위치값 위쪽 21,500언저리 기술적 이해관계가 중첩되는 구간으로 이라인을 돌파하기는 어렵겠다는 판단 입니다. 트럼프가 한국의 주력 상품인 반도체,철강,의약품등에 관세 부과를 경고하며 미국 내 투자에 나서라고 압박하고 나섰습니다. 10년물 국채금리는 글을 쓰는 시간 0.035bp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2025. 1. 28. 메그니피센트 에프터 마켓(1/28) 소셜미디어 X(옛 트위터)에는 지난 21일 챗GPT o1 프로와 딥시크 R1에 회전하는 삼각형 안에 들어있는 빨간색 공을 구현해달라고 요구했다는 게시글이 올라왔습니다. 게시자는 이와 함께 챗GPT와 딥시크가 구현한 결과를 첨부했습니다. 딥시크가 지난 20일 추론모델 'R1'을 공개한 지 하루만입니다. 첨부된 결과를 보면 딥시크는 오른쪽으로 회전하는 삼각형 내부에서 빨간색 공이 튕기듯 움직이는 모습을 구현했습니다. 반면 챗GPT가 구현한 결과에서는 회전하는 삼각형 외부에 맞닿아있어 시살상 고정된 빨간색 공이 보입니다. 게시글에는 똑같이 질문했는데 챗GPT는 못한다 비용이 10분의 1만 들었다는 딥시크가 더 정확하게 표현한다는 댓글이 달렸습니다. 지난밤 중국의 딥시크의 AI 모델이 훨씬 적은 비용으로도 오픈.. 2025. 1. 2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