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옵션그릭스3

선물과 옵션 투자방법 – 같은 듯 다른 고레버리지의 세계 선물과 옵션은 모두 파생상품이라는 점에서 비슷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투자 접근 방식에서 분명한 차이를 보인다. 선물은 본질적으로 ‘방향성 거래’다. 가격이 오를지 내릴지를 예측하고 포지션을 잡는 방식이다. 상승을 예상하면 매수(Long), 하락을 예상하면 매도(Short)를 선택하는 비교적 직관적인 구조다. 반면 옵션은 방향성뿐 아니라 ‘변동성’에 베팅하는 수단이기도 하다. 콜(Call)과 풋(Put)의 선택으로 방향성에 접근할 수 있는 동시에 내재변동성(Implied Volatility)의 변화를 활용한 전략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훨씬 더 복합적인 구조다. 같은 파생상품이지만 옵션은 단순한 방향성 예측을 넘어서 시장의 ‘움직임 자체’에 투자하는 개념으로 확장된다. 최근 서학개미들이 미국 시장의 고위험 고.. 2025. 4. 14.
옵션의 가격결정 원리의 중요성 옵션 시장은 주식 시장보다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단순한 방향성 예측만으로는 성공하기 어렵다. 옵션의 가격은 기초자산의 움직임뿐만 아니라 시간의 경과, 변동성 변화, 금리 변동 등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변수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도구가 바로 옵션 그릭스(Greeks)이다. 옵션 그릭스를 이해하는 것은 단순한 선택이 아니라 필수적인 요소이며 이를 모르면 시장에서 생존하기 어려울 수 있다. 1. 옵션 그릭스란 무엇인가?옵션 그릭스는 옵션 가격이 기초자산의 움직임 시간의 흐름, 변동성 등의 변화에 따라 얼마나 영향을 받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대표적인 옵션 그릭스로는 델타(Delta), 감마(Gamma), 세타(Theta), 베가(Vega), 로(Rho)가 있다. 이들은 각기 .. 2025. 3. 27.
옵션 거래에서 델타의 중요성 옵션 거래에서 델타의 중요성 옵션 거래에서 가장 흔히 범하는 실수 중 하나는 가격이 저렴한 외가격(OTM) 옵션을 선호하는 것입니다. 가령 월물 초반이라고 가정할 때 등가격(ATM) 옵션이 4.00, 외가격(OTM) 옵션이 0.50이라고 하면 많은 투자자가 0.50짜리 외가격 옵션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왜일까요? 예수금 1,000만 원을 기준으로 하면 0.50짜리 외가격 옵션은 80계약을 매수할 수 있지만 4.00짜리 등가격 옵션은 10계약밖에 매수할 수 없습니다. 표면적으로 보면 보유 계약 수가 많아지면서 더 큰 수익 기회가 있을 것처럼 보이지만, 이는 옵션 거래에서 가장 위험한 습관이며 매도 세력의 좋은 먹잇감이 될 뿐입니다. 델타의 차이: 등가 vs. 외가 이러한 선택이 위험한 이유는 델타의.. 2025. 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