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스피200 종목 기술적 판단

sk 하이닉스 주가전망 기술적 판단(2/8)

by biangco 2025. 2. 8.

SK하이닉스 창사 이래 최대 실적. HBM·6세대 D램이 이끌다

 

1. 사상 최대 실적 달성
SK하이닉스는 2024년 연간 영업이익 23조 4,673억 원, 매출 66조 1,930억 원을 기록하며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이러한 성과의 중심에는 고성능 D램과 HBM(고대역폭 메모리)이 있었습니다.

2. 6세대 D램, 생산성과 원가 절감 효과
하이닉스는 2024년 하반기 세계 최초로 10나노급 6세대(1c) D램을 개발했습니다. 이 제품은 2025년 2월부터 양산될 예정이며 기존 대비 11% 빠른 속도(8Gbps)와 9% 이상 개선된 전력 효율과 공정 미세화로 웨이퍼당 생산량 증가 및 원가 절감
이라는 강점을 갖추고 있습니다. 특히 고성능 컴퓨팅 및 인공지능(AI) 서버 시장에서 수요가 높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3. HBM 성장과 AI 시장 수혜
HBM은 인공지능과 데이터센터 분야에서 필수적인 메모리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는 2024년 HBM 매출이 전년 대비 100%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며 2025년에는 초고적층 HBM4(16단) 제품을 출시할 계획입니다. 이는 자율주행차, 클라우드 컴퓨팅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될 전망입니다.

4. 경쟁력 강화 및 시장 전망
중국 업체들의 추격에도 불구하고 SK하이닉스는 DDR5 및 최신 D램 기술에서 여전히 앞서 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앞으로도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의 전략을 유지하며 HBM 및 차세대 공정에 대한 투자를 지속할 계획입니다.

유리기판 기술의 현재 위치
유리기판은 기존 실리콘 기판보다 열팽창률이 낮아 미세 공정에서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차세대 소재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도 연구 중이지만 아직 양산 단계는 아닙니다. 다만 인텔이 2023년 유리기판 기술을 발표하며 반도체 업계의 관심이 커지고 있어 SK하이닉스도 향후 도입 가능성이 있습니다.

전망
메모리 시장 반등 지속: AI 시장 확대로 D램과 HBM 수요 증가
생산성 향상 및 수익성 개선: 6세대 D램의 원가 절감 효과
경쟁력 유지: 최신 공정 기술 우위로 중국 업체와 격차 유지
차세대 기술 대응 필요: 유리기판 도입 여부가 장기적으로 중요 변수
SK하이닉스는 기술력과 시장 선점을 바탕으로 업황 개선의 핵심 수혜주가 될 전망입니다.

 

sk하이닉스 기술적 판단

 

일봉에서는 평균선의 배열이 바르게 정렬되지 않았습니다.

좌측 1월31일 발생한 큰 하방 갭은 저항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sk하이닉스 차트

지속 상승의 기술적 조건은 하단 19만4천원을 종가로 지켜야 합니다. 깨면 상승을 위한 경우의 수는 더복잡해지고 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됩니다.주봉과 월봉에서는 주요 평균선들의 정열이 상승의 조건에 부합하는 이상적인 컨디션을 갇추고 있는것으로 관측이 됩니다. 현상태 최대 변수값인 트럼프 값이 아직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상승지속으로 단정하는것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트럼프 발표후 관측값을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2월10일~14일 주간 트럼프가 다수의 국가를 상대로 상호관세 부과를 예고 했습니다.

이시바 일본 총리와 기자회견 자리에서 10일이나 11일(한국시간 11일이나12일) 이와 관련한 계획을 발표 하겠다고 밝혔는데요.

 

시장 분위기를 차갑게 냉각시키는 계획이 발표된다면 sk하이닉스도 조정이 불가피할것 입니다.

 

방문하시는 투자자 여러분의 성공투자를 기원 합니다.

 

삼성전자 주가전망 기술적 판단(2/6)

 

삼성전자 주가전망 기술적 판단(2/6)

1. 일봉 차트 이동평균선 각도 및 흐름 현재 일봉 차트에서는 단기, 중기, 장기 평균선이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유지.5선과 10선이 단기적으로 횡보를 시도하지만 상승 탄력이 크지 않고 완만. 20

biangco.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