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로벌 주요 일정 및 이벤트

미국 국채 매도 도미노 가능성과 리스크 분석

by biangco 2025. 4. 4.

1. 개요

미국 국채는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가장 안정적인 안전자산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보호무역 기조 강화, 미·중 갈등 심화, 부채 한도 문제 등으로 인해 주요 국채 보유국들이 보유 국채를 매도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 국채 매도 도미노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과 이에 따른 리스크를 평가해본다.

2. 미국 국채 주요 보유국 현황

2024년 말 기준 미국 국채 최대 보유국은 다음과 같다.

일본: 약 1.1조 달러

중국: 약 8,000억 달러

영국: 약 7,500억 달러

벨기에: 약 3,500억 달러

기타 국가(대만, 스위스, 룩셈부르크 등)

이들 국가가 보유 국채를 매도할 경우 미국 채권시장의 유동성이 감소하고 국채 금리가 급등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3. 미국 국채 매도 도미노 가능성

1) 무역전쟁과 경제 보복(미국 국채 매도의 원인)

트럼프 행정부가 대규모 관세 정책을 유지하거나 추가 조치를 단행할 경우 중국 및 유럽 국가들이 보복 조치로 국채 매도를 고려할 수 있다. 과거 미·중 무역전쟁 국면에서도 중국이 국채 카드를 언급한 바 있으며 유럽 역시 자국 금융시장 방어를 위해 미국 국채 비중을 조정할 수 있다.

2) 외환시장 방어 전략

중국은 위안화 절하를 방어하기 위해 보유한 미국 국채를 매도하고 달러를 확보할 가능성이 있다. 일본 역시 엔화 강세를 방어하기 위해 국채 매도를 단행할 수 있으며 이는 미 국채 금리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

3) 정치적 불확실성

미국의 부채 한도 문제와 정치적 혼란은 국채 신뢰도를 낮추는 요인이 될 수 있다. 특히 디폴트 위기가 고조될 경우 해외 보유국들은 국채를 조기에 처분하여 리스크를 줄이려 할 것이다.

4. 국채 매도 도미노 발생 시 리스크

1) 국채 금리 급등과 미국 경제 부담

대량의 국채 매도는 국채 가격 하락과 금리 급등을 초래할 수 있다. 미국 정부의 차입 비용이 증가하면 재정적 압박이 가중되고 이는 경기 둔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특히 장기물 국채 금리가 급등할 경우 기업 및 소비자 대출 비용이 상승하여 경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2) 금융시장 변동성 증가

국채 금리 급등은 글로벌 금융시장에 큰 충격을 줄 수 있다. 미국 증시는 채권시장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금리 상승이 주식시장 폭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또한 신흥국들은 달러 유동성 부족에 직면할 수 있으며 이는 글로벌 경기 악화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3) 연준의 대응과 인플레이션 재발 가능성

연준은 국채 시장 안정을 위해 개입할 가능성이 높으며 대규모 국채 매입(양적 완화) 또는 정책금리 조정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문제는 연준이 다시 양적 완화 모드로 돌입할 경우 유동성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재차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최근 몇 년간 미국 경제는 고금리 정책을 통해 물가를 안정화하려 했으나 국채 시장 불안이 연준의 정책 방향을 변경하게 만들 경우 인플레이션이 다시 심화될 수 있다. 이는 장기적으로 미국 경제의 신뢰도를 훼손하는 요인이 될 것이다.

 

미국 국채 매도 도미노는 단순한 경제적 손익 계산이 아니라 정치적 전략적 고려에 따라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 기조가 지속되고 부채 한도 문제 해결이 지연될 경우 국채 보유국들의 매도 압력이 높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국채 금리 상승, 금융시장 불안정, 글로벌 경기 둔화 등의 리스크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할 것이다.